세종대왕과 대마도의 조약, 계해약조(1443) – 조선과 왜(일본) 사이의 국경, 교역, 그리고 현실적 타협
세종대왕과 대마도의 조약, 계해약조(1443) – 조선과 왜(일본) 사이의 국경, 교역, 그리고 현실적 타협조선의 외교사를 돌아보면, 명나라나 청나라와의 사대외교 못지않게 ‘왜(倭, 일본)’와의 관계가 민감한 시기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왜구(왜적)의 침입과 국경 지역의 혼란은 조선 초기 내내 끊임없는 고민거리였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1443년 세종대왕이 대마도(쓰시마)와 체결한 계해약조(癸亥約條)는 동아시아 해상 질서와 한일관계에 큰 전환점이 된 사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계해약조의 배경, 내용, 그리고 이후 조선-일본 관계에 남긴 의미를 살펴봅니다. 1. 조선과 왜구, 그리고 대마도의 현실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바다에는 ‘왜구’라 불리는 해적들이 들끓었습니다.이들은 주로 일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