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박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 정조의 서거와 세도정치의 시작 조선 정조의 서거와 세도정치의 시작1800년은 조선 역사에서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중대한 전환점이 된 해였습니다. 제22대 임금 정조가 갑작스럽게 서거하면서, 그동안 추진되어 온 개혁정치의 흐름이 단절되고, 조선은 다시 소수 세력에 의한 권력 독점 시기인 세도정치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정조의 서거는 단순한 왕위 교체가 아니라, 조선 후기를 지탱하던 중심축이 무너진 사건이었습니다.정조는 즉위 이후 붕당 간 대립을 완화하기 위하여 탕평책을 실천하고, 규장각을 설치하여 인재를 양성하며 실학을 장려하셨습니다. 상공업 진흥, 군사 개혁, 지방 행정의 효율화 등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특히 수원 화성 축조는 군사적 방어와 상업적 발전을 동시에 도모한 대표적인 업적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림자 권력,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그림자 권력,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여성 정치권력의 실현과 조선 후기의 분기점조선왕조 500년의 역사에서 여성은 일반적으로 정치의 전면에 나서기 어려운 위치에 있었으나, 예외적인 상황 속에서 강력한 정치력을 발휘한 인물이 존재하였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입니다. 본 글에서는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을 중심으로, 그녀의 권력 장악 배경과 정치적 의의, 그리고 조선 후기 정치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정순왕후 김씨의 출신과 배경정순왕후는 1745년에 태어나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1759년 영조의 계비로 간택되어 입궁하였습니다. 그녀는 임오화변(1762) 당시 사도세자의 죽음을 목도하였으며, 이후 정조 대에는 조용히 궁중의 내명부를 관장하였습니다. 그러.. 서북인 차별과 신유박해(1801) – 조선 후기, 이념과 지역차별이 겹친 박해의 시대 서북인 차별과 신유박해(1801) – 조선 후기, 이념과 지역차별이 겹친 박해의 시대조선 후기는 혼란과 변화의 시기였습니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조선 사회는 내부적으로 양반제도의 붕괴, 상업의 발달, 민란의 확산, 서학(천주교)의 전파 등 급변하는 사상과 경제 질서 속에서 복잡한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지역 차별, 특히 서북인에 대한 차별과 함께 신유박해(1801)라 불리는 조선 최대의 천주교 박해 사건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 후기의 지역 차별, 서북인(평안도·함경도인)에 대한 제도적 억압과 그것이 신유박해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조선 후기 ‘서북인’ 차별의 역사적 맥락조선 초기부터 국경 지역인 평안도와 함경도는 정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