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8)
숨죽인 진실, 사화의 그늘 숨죽인 진실, 사화의 그늘무오사화 후 손소의 옥(1499) – 사림의 또 한 번의 희생한국사를 배우면서 자주 듣는 단어 중 하나가 ‘사화(士禍)’입니다.사림(선비 집단)들이 권력 다툼, 또는 훈구파(공신 귀족)와의 갈등 속에서 피를 흘렸던 사건들이죠.보통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을사사화(1545) 등 네 번의 사화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사이에도 수많은 소규모 탄압과 희생이 이어졌습니다.오늘은 그중에서도 무오사화 직후 벌어진 손소(孫昭)의 옥이라는 비교적 덜 알려진 사건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합니다.무오사화, 그리고 사림의 운명1498년, 연산군 시절.조선의 젊은 지식인 집단인 사림(士林)이 역사 기록의 내용(『조의제문』 문제)으로 인해 큰 화를 입습..
조선시대 숨은 권력 암투: 대윤과 소윤의 비극, 그리고 조선 정치의 그림자 조선시대 숨은 권력 암투: 대윤과 소윤의 비극, 그리고 조선 정치의 그림자조선의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임진왜란이나 사화(士禍)처럼 커다란 사건들만 기억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조용히 그러나 치열하게 흐른 ‘권력의 흐름’과 피할 수 없는 희생이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하지만 조선 전기 정치사의 중요한 분수령이었던 대윤(大尹)과 소윤(小尹) 분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윤 씨 집안이 나라를 흔들다”– 사건의 시작: 명종 즉위와 권력의 진공상태조선 중종(재위 1506~1544)이 세상을 떠나고, 그의 둘째 아들인 명종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면서 조정에는 권력의 공백이 생깁니다. 원래부터 조선 왕조는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