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역사

(2)
조선 공노비 해방령(1801, 1894) – 천한 신분의 굴레를 벗다 조선 공노비 해방령(1801, 1894) – 천한 신분의 굴레를 벗다한국 사회에서 노비 제도는 오랜 시간 계급 질서를 유지시키는 핵심 장치였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변화의 물결은 그 천한 신분에도 점차 영향을 미쳤고, 마침내 조선 후기에는 공노비(官奴婢)에 대한 해방 조치가 단행됩니다. 오늘은 1801년 순조 대의 공노비 해방령과 1894년 갑오개혁기의 전면적 해방을 중심으로, 노비제 폐지의 역사적 흐름과 그 의미를 살펴봅니다. 1. 노비란 무엇인가 – 사노비와 공노비의 구분조선시대의 노비는 크게 사노비(私奴婢)와 공노비(官奴婢)로 나뉩니다.사노비는 양반, 중인 등 일반 개인이 소유한 노비로, 그 가문의 재산으로 간주됨공노비는 국가, 즉 관청이 소유한 노비로, 중앙 및 지방의 관아에서 행정, 노동..
임진왜란의 서막, 동래성 전투(1592) – 무너진 성벽과 시작된 전쟁 임진왜란의 서막, 동래성 전투(1592) – 무너진 성벽과 시작된 전쟁조선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전쟁 중 하나인 임진왜란(1592~1598)은 단 하루 만에 전 국토를 전쟁터로 바꿔놓았다. 그 시작점이 바로 동래성 전투다. 일본군이 조선을 침략한 첫날, 1592년 4월 14일, 부산 앞바다를 메운 일본군의 대규모 병력은 동래성으로 진격했고, 하루 만에 성이 함락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이번 글에서는 동래성 전투의 배경과 전개 과정, 방어군의 최후, 그리고 그 역사적 의미를 짚어보려 한다.1. 일본의 침공과 조선의 안일한 대응1592년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과 명나라를 정복하겠다는 명분으로 대군을 동원했다. 그의 야망은 조선을 ‘길’로 삼아 대륙을 점령하겠다는 것이었지만, 조선은 이를 심각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