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블로그

(3)
조선 정조의 지식 개혁의 상징, 규장각 조선 정조의 지식 개혁의 상징, 규장각규장각은 1776년,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 즉위 직후 설치하신 왕립 도서관이자 정책 연구·자문 기관입니다. 그러나 ‘도서관’이라는 단어로 규장각을 단순히 정의하는 것은 그 위상을 지나치게 축소하는 일입니다. 규장각은 국왕 직속의 정책 싱크탱크이자, 국가 기록 보존소이며, 최고의 인재 양성소로 기능하였습니다. 정조는 이를 통하여 중앙 정치의 흐름을 장악하고, 사대부 중심의 정치 구조가 지니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셨습니다.규장각의 설립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국가 정책을 직접 연구하고 보고하는 정책 연구소로서의 기능, 둘째, 역사·문학·과학 등 각 분야의 문헌을 수집·편찬하는 국가 지식 저장소의 역할, 셋째,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여 실무형 관료..
조선 정조의 서거와 세도정치의 시작 조선 정조의 서거와 세도정치의 시작1800년은 조선 역사에서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중대한 전환점이 된 해였습니다. 제22대 임금 정조가 갑작스럽게 서거하면서, 그동안 추진되어 온 개혁정치의 흐름이 단절되고, 조선은 다시 소수 세력에 의한 권력 독점 시기인 세도정치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정조의 서거는 단순한 왕위 교체가 아니라, 조선 후기를 지탱하던 중심축이 무너진 사건이었습니다.정조는 즉위 이후 붕당 간 대립을 완화하기 위하여 탕평책을 실천하고, 규장각을 설치하여 인재를 양성하며 실학을 장려하셨습니다. 상공업 진흥, 군사 개혁, 지방 행정의 효율화 등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특히 수원 화성 축조는 군사적 방어와 상업적 발전을 동시에 도모한 대표적인 업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세종 시대 자동 물시계, 자격루 세종 시대 자동 물시계, 자격루조선의 기술력이 세계를 앞서간 순간조선 시대 과학 기술의 정점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장영실’. 그의 대표 업적 중 하나는 1434년 세종의 명으로 제작된 ‘자격루(自擊漏)’, 즉 자동 물시계입니다. 단순한 시간 측정 도구를 넘어선 이 장치는, 당대 조선의 과학 기술 수준과 세종의 리더십, 그리고 장영실의 천재성을 집약한 결정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격루란 무엇인가?‘자격루(自擊漏)’는 한자로 스스로 종을 치는 물시계라는 뜻입니다.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흘러 시간이 차면, 인형이 나와 종을 치거나 북을 두드려 시간을 알리는 완전 자동형 시보 시스템이었죠. 단순히 시간을 측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는 장치로 기능했습니다.자격루는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