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와 단리의 차이|돈이 불어나는 속도의 비밀
1. 단리와 복리의 기본 개념
(1) 단리(Simple Interest)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즉, 최초에 투자한 금액(원금)에는 매년 같은 이자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연 5% 단리로 3년간 투자하면, 매년 50만 원의 이자를 받고 3년 뒤 총이자는 150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종 금액은 1,150만 원입니다.
(2) 복리(Compound Interest)
복리는 원금뿐만 아니라 이전에 발생한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이른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같은 조건(1,000만 원, 연 5%)에서 복리로 3년 투자하면, 첫해엔 50만 원, 두 번째 해엔 1,050만 원에 5%가 붙어 52만 5천 원, 세 번째 해엔 1,102만 5천 원에 다시 5%가 붙어 약 55만 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총금액은 약 1,157만 원으로 단리보다 약간 많습니다.
짧은 기간에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장기간으로 가면 격차가 크게 벌어집니다.

2. 단리와 복리의 공식
• 단리 공식
총액 = 원금 × (1 + 이자율 × 기간)
• 복리 공식
총액 = 원금 × (1 + 이자율)^기간
두 공식을 비교하면 단리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복리는 지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3. 단기 vs 장기 투자에서의 차이
(1) 단기 투자에서는 차이가 미미하다
예를 들어, 1년~3년 정도의 단기 투자를 할 경우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투자 기간이 짧기 때문에 복리 효과가 크게 누적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1,000만 원을 연 5% 단리/복리로 3년 투자
• 단리: 1,150만 원
• 복리: 1,157만 원
→ 차이는 7만 원 정도에 불과합니다.
(2) 장기 투자에서는 차이가 폭발적으로 커진다
같은 조건에서 20년간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단리: 1,000만 원 + (1,000만 × 5% × 20년) = 2,000만 원
• 복리: 1,000만 원 × (1.05)^20 ≈ 2,653만 원
20년 뒤에는 약 653만 원 차이가 납니다. 만약 30년 이상 투자한다면 차이는 더 커집니다.
⸻
4. 실제 사례로 보는 복리 효과
워런 버핏이 세계적인 투자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가 바로 복리의 마법입니다. 그는 10대 때부터 투자하기 시작해 장기간 수익을 쌓아왔고, 복리의 힘이 시간이 지날수록 폭발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또한 은행 적금, 연금저축, ETF 투자 등 장기적으로 불입하고 재투자하는 구조에서는 복리가 크게 작용합니다. 단순히 높은 수익률을 한 번 얻는 것보다, 꾸준히 장기간 복리로 굴리는 것이 훨씬 큰 부를 만들어냅니다.
⸻
5. 단리와 복리, 어떤 상황에 적합할까?
• 단리 투자
• 단기 투자, 안전성이 중요한 경우
• 예: 채권형 상품, 단기 예금, 확정금리형 상품
• 복리 투자
• 장기 투자, 시간과 함께 수익을 키우는 경우
• 예: 주식, ETF, 연금저축, 배당 재투자 상품
즉, 단리는 일정한 이자를 단기적으로 받는 데 유리하고, 복리는 장기적으로 자산을 키우는 데 압도적인 효과를 보입니다.
⸻
6. 복리 효과 극대화하는 방법
1. 시간을 길게 가져가기
•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커지므로,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합니다.
2. 수익 재투자
• 배당금, 이자 등을 소비하지 않고 다시 투자해야 복리 효과가 누적됩니다.
3. 지속적인 납입
• 일정 금액을 꾸준히 불입하는 적립식 투자가 복리에 잘 맞습니다.
4. 세금과 수수료 최소화
• 세금이나 수수료가 크면 복리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절세 계좌(IRP, 연금저축)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 결론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짧은 기간에는 미미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엄청난 격차를 만들어냅니다. 단리는 단기적 안정성을 추구할 때 적합하고, 복리는 장기간 자산을 불리는 데 최적화된 방식입니다.
즉, 단기적 자금 운용은 단리, 장기적 부 축적은 복리라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현명합니다.
👉 오늘부터라도 배당 재투자, 연금계좌 활용, 적립식 투자를 통해 복리의 힘을 내 자산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 뜻|주식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5) | 2025.09.01 |
---|---|
소득세란? 기본 개념부터 절세 전략까지 (4) | 2025.08.29 |
3040 고배당 ETF로 10년·20년 장기투자 시뮬레이션 (7) | 2025.08.27 |
회사채 ETF 뜻과 투자 방법,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3) | 2025.08.27 |
비상장 주식 투자, 기회와 위험을 함께 아는 전략 (8) | 2025.08.26 |